건강정보

  • 진료시간안내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토·공휴일 휴무)
  • 건강정보 - 올바른 식생활 - 질환별 식생활 - 당뇨병
  • 본문 인쇄
  • 메일보내기
  • 화면크기글자크게정상크기글자작게

당뇨병의 정의

  •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혹은 분비되는 인슐린이 체내에서 적절하게 작용되지 못함으로써 신장의 재흡수 능력이 떨어져 소변으로 포도당이 나오는 고혈당증

당뇨병의 원인

  • 유전적 요인에 비만, 노화, 임신, 감염, 수술, 스트레스, 약물남용 등의 환경적 요인 함께 작용

당뇨병의 증상

  • 다뇨(多尿) : 포도당이 물과 함께 빠져 나가기에 소변량이 많고 소변을 자주 본다.
  • 다음(多飮) : 소변을 자주 보기에 수분이 모자라게 되어 물을 자주 마신다.
  • 다식(多食) : 섭취한 음식물이 몸에서 충분이 이용되지 않기에 허기가 져서 자주 먹게된다.
  • 체중감소 : 포도당이 소변으로 빠져 나기기에 먹어도 오히려 체중은 줄어든다.
  • 피로감 : 에너지원이 포도당을 이용하지 못하게 되어 기운이 없게 된다.

당뇨병의 관리: 약물 치료 + 식사 관리 + 운동

  • 당뇨병의 관리방법으로는 식사요법, 약물요법, 운동요법이 있으며, 각 개인의 증세에 따라 적절한 방법은 주치의와 상의하여 결정해야 한다.

    식이요법, 운동, 교육, 약물요법, 검사

  • 이 중 당뇨관리의 가장 기본은 식사관리이며 당뇨병의 식사요법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정상 혈당 유지 및 정상적인 혈중지질과 혈압을 유지하는 것이다.

정상 혈당 기준

정상 혈당 기준
생화학적 지표 정상 목표 조절이 필요한 경우
공복/식전 혈당 110mg/dL 80∼120mg/dL 80 또는 140mg/dL
취침 전 혈당 120mg/dL 100∼140mg/dL 100 또는 160mg/dL

※ 공복혈당 140mg/dL, 2시간 식후 혈당 200mg/dL 이상일 경우 당뇨로 판정

매일 6가지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합니다. 매끼 일정한 시간에 정해진 분량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합니다. 표준체중을 유지합니다. 단당류의 섭취를 삼가합니다.  섬유소가 풍부한 식사를 합니다. 술은 되도록 삼가합니다. 지방 및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을 줄입니다. 지나치게 짠 음식은 피하고 되도록 싱겁게 조리합니다.

표준체중 계산법

  • 신장 160cm 이상 : 표준체중(kg)= [신장(cm)-100] ×0.9
  • 신장 150∼159cm : 표준체중(kg)= [신장(cm)-150]×0.5 + 50
  • 신장 150cm 이하 : 표준체중(kg)= 신장(cm)-100

올바른 조리방법

  • 조리시에는 설탕의 사용을 가급적 피하도록 한다.
  • 신선한 제철음식을 준비하고 가공식품은 가급적 피하도록 한다.
  • 고기류는 기름을 떼어내고 닭고기는 껍질을 벗긴 후 조리하도록 한다.
  • 기름사용이 많은 튀김, 전 대신 가급적이면 구이, 찜 등의 조리법을 활용한다.

외식시 주의사항

  • 아침 식사는 반드시 섭취하며, 가급적 외식의 횟수를 줄인다.
  • 과식하지 말고 본인의 허용 열량에 맞는 음식을 선택한다.
  • 외식에서 부족한 식품은 다른 끼니에 보충하도록 한다.
  • 다양한 식품선택으로 영양소를 균형 있게 섭취하도록 한다.
  • 동물성 지방이 많이 함유된 식품의 선택을 피한다.
  • 자극적인 음식, 짠 음식, 지나치게 단 음식은 피한다.
  • 외식시에는 모든 식품군이 골고루 들어있는지 확인하고 식사하도록 한다.
  • 기름이 많은 음식(튀김, 중국요리 등), 성분을 알 수 없는 음식은 가급적 피한다.
  • 자료담당부서 건강증진과 김재연
  • 전화번호053-662-3212
  • 최종수정일2022-05-24
페이지 만족도 평가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평가를 해주세요!
별점 5점
별점 4점
별점 3점
별점 2점
별점 1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