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 진료시간안내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토·공휴일 휴무)
  • 건강정보 - 영유아 건강정보 - 영유아건강관리
  • 본문 인쇄
  • 메일보내기
  • 화면크기글자크게정상크기글자작게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이란 ?
 
태어날 때부터 어떤 종류의 효소가 없어서 우유나 음식의 대사산물이 신체에 유독작용을 일으켜 대뇌, 간장, 안구 등의 장기에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줍니다.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은 신생아 시기에는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알 수 없으며, 생후 6개월부터 여러 증상이 생깁니다. 이 때부터 치료를 하더라도 그동안 손상 받은 뇌세포가 치유되지 않아서 지능은 좋아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생후 7일 이내에 검사를 받아 조기 발견하여 치료하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검사절차 및 치료
 
- 정부에서는 모든 신생아를 대상으로 선천성 대사이상검사 가운데 페닐케톤뇨증, 갈락토스혈증, 단풍당뇨증, 호모
   시스틴뇨증, 선천성 부신과형증, 갑산성기능 저하증 검사에 대해 보건소, 병·의원 등에서 무료로 실시하고 있습니
   다. 

- 검사방법
  · 생후 48시간 이후 7일 이내의 신생아에게 젖을 충분히 섭취시키고 2시간이 지난 후 발뒤꿈치에서 채혈하여 1차 
    검사를 실시하며 검사결과 이상이 발견되면 정밀검사를 실시합니다. 

- 치료
  ·  정밀검사결과 확인된 선천성 대사이상자에 대하여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호르몬제나 특수조제분유를
     먹이면 정상아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정부에서는 저소득층 신생아 중 페닐케톤뇨증 환아에게는 특수 조제 분유를,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아에게는
     치료비를 지급합니다.
  • 자료담당부서 건강증진과 김소희
  • 전화번호053-662-3232
  • 최종수정일2023-08-04
페이지 만족도 평가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평가를 해주세요!
별점 5점
별점 4점
별점 3점
별점 2점
별점 1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