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대메뉴로 바로가기

우리고장 알아보기

나비생태원바로가기

홈> 우리고장 알아보기> 지명유래> 신천동

  • 글자 글자크게 글자작게
  • twitter
  • facebook
  • print
  • email
  • 신천동(新川洞)의 유래

    조선시대 정조 3년 대구판관 이서가 시가지를 가로질러 흐르던 하천에 제방을 쌓고 현재의 신천동 물줄기를 돌려 만들었는데, 새로난 하천(신천)의 가장자리에 있다하여 신천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 신천
      • 대구시를 남북으로 통과하는 하천으로 남부 산지인 비슬산 최정상에서 시작하여 용계동(가창면 소재)에 이르러 팔조령 부근에서 시작하는 대천과 합류하여 대구 시가지를 가로질러 침산동에서 금호강으로 합류된다.
        주류의 길이 12.5㎞, 유로 전체길이 27㎞, 유역면적 165.3㎢의 준용하천이다.
        서부 구릉지와 동부 구릉지 사이에서 여러차례 유로를 이동 흑은 분류하면서 큰 선상지를 형성하였고 이 선상지 위에 대구 시가지의 중심부가 형성되어 있다. 지금의 위치로 강줄기가 잡히기 전에는 용두산 밑에서 효성타운 - 수도산 동쪽 - 반월당 - 구암서원 앞 - 동산파출소 - 달성공원을 통과하여 달서천으로 흘러 들어가 마침내 금호강과 합류하는 강이며, 비가 오면 시가지 침수를 피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물난리를 막지 못하다가 영조 52년 7월 판관 이서(李逝)라는 분이 대구판관으로 부임하여 임기 3년째인 정조 2년(1778) 사재를 털어 시가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제방을 쌓으니, 물난리를 면할 수 있었고, 이 때 물줄기의 형태가 변해 새로이 생긴 곳이라 하여 신천(新川)이라 불렀다고 한다.
        신천의 상류부 오동(梧洞)에는 상수도용 가창저수지가 만들어져 대구시의 상수원이 되고 있으며 상류 산간 계곡은 대구시민의 휴식공간이 되고 있다.
    • 한골
      • 난리골의 뒤쪽이라 한다. 명칭의 유래에 대해선 밝혀지지 않으나 현 광명아파트가 있는 곳이 큰 골인데 그 곳과 난리골의 뒤쪽이었다.
    • 송라시장
      • 신암2동 범화맨션 근처는 일제시대에는 검찰청 산하 관청이 모여 있던 곳이다. 해방이 되고 20년 후 개인에게 이 지역이 불하되어 민가가 들어서기 시작하여 동네를 이루었으며, 그 때 행정구역은 대구 동구 신암4구였었다.
        이 동네 동쪽의 조그만 골짜기에 남쪽과 북쪽에 각각 연못이 하나씩 있어서 쌍둥이 못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 못은 이덕삼씨의 개인 소유였다고 하나 못 둑에는 출처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개인 공적비가 15개 정도 있었다고 하지만 현재는 없어졌다.
        지금은 두 못의 사이에 경부선 철도가 동서로 놓여져 있다. 철도 남쪽에는 못이 메워져서 처음에는 골목시장으로 시작하여 해방 전까지는 영남시장이라고 했으나, 해방 후부터는 송라시장으로 불리어졌다.
        철도 북쪽의 못은 1950년대까지 빨래터로 주로 사용되다가 1960년대에 메워져 이 자리에 지금의 동신초등학교가 세워졌다.
    • 야시골
      • 일제시대(1910년) 이후 현재 신천4동 그 일부가 묘지(墓地)로 형성되어 있었는데 그 묘터가 야시(여우)의 
        근거지가 되었다는 데서 그 유래가 있다.
  • 자료담당부서 기획예산과 박신희
  • 전화번호053-662-2117
  • 최종수정일2023-01-12
페이지 만족도 평가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평가를 해주세요!
별점 5점
별점 4점
별점 3점
별점 2점
별점 1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