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대메뉴로 바로가기

우리고장 알아보기

나비생태원바로가기

홈> 우리고장 알아보기> 우리고장인물> 고대사회

  • 글자 글자크게 글자작게
  • twitter
  • facebook
  • print
  • email
심지왕사
41대 헌덕왕의 아들로 15세에 출가하여 팔공산에서 수행하였다. 심지는 속리산의 영심(永深)이 진표율사의 불골간자(佛骨簡子)를 전해 받아 법회를 연다는 소식을 듣고 속리산으로 찾아갔으나 늦어 법회에 참석을 허락받지 못했다. 때문에 법당에 들어가지 못하고 마당에서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참례하였는데, 7일이 지나 큰 눈이 내렸다. 그러나 심지가 서있는 곳의 사방 열자 정도의 땅에는 눈이 내리지 않아, 여러 사람들이 그 신기함을 보고 법당에 들어갈 것을 허락하였다. 하지만 심지는 사양하고 병을 핑계삼아 방에 들어가 조용히 법당을 향하여 예배하였다. 법회가 끝나고 팔공산으로 돌아오는 길에 옷자락에 불골간자 2매가 끼여 있는 것을 보고 이것을 가지고 돌아가 영심에게 사실을 고하니 영심이 “간자는 함 속에 있는데 어찌 그럴 리가 있겠는가?” 하고 함을 열어보니 간자는 없었다. 영심은 매우 기이하게 여기면서 간자를 겹겹이 싸서 깊이 간직하였다. 심지가 다시 길을 나섰으나 다시 보니 간자가 먼저와 같이 옷에 끼여 있으므로 다시 돌아와 고하니 영심은 “부처의 뜻이 그대에게 있으니 받들어 행하도록 하라” 하고 간자를 심지에게 전수했다. 심지가 팔공산에 돌아오니 산신이 산 위에서 심지를 맞아들이고, 산신의 도움을 받아 간자를 봉안할 절을 창건하였으니 이가 동화사였다고 한다.
  심지가 받았다는 불골간자 2매는 진표교단의 중요한 신물이었다. 진표가 선계산 불사의암에서 기도하여 얻었다는 미륵불의 손가락뼈로 만든 것이었다. 진표가 행한 기도는『점찰경』에 의한 참회법이 주를 이루는데, 이 방법은 밀교의 비법으로 간자 즉 나무 조각을 던져 길·흉·선·익을 점쳐 그 괘에 따라 참회하여 업을 씻는 방법이다. 점찰계법을 신라에 최초로 소개한 사람은 원광이지만, 진표대에 와서 그것이 성행하였다. 불골간자는 진표를 계승한 교단에서는 가장 중요한 성물로 인정되던 것이었다. 심지가 그것을 받았다는 것은 심지가 진표교단의 주도자로 되었다는 의미이다.
이재(異才)
이재는 신라 말에 호국의 영도장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호국성을 근거로 삼고 대구지역을 통치하던 호족이었다. 이재는 촌주 출신으로서 신라의 분열기에 세력을 키워 효공왕 5년(898) 경에 호족으로 자립했다. 그의 세력권은 수창군 군치지역과 대구현, 해안현 등을 포함하는 대구분지 전체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재의 세력기반은 농업생산력, 외부에서 유입된 유민들, 그리고 팔공산 동화사를 중심으로 한 사원세력이었다. 그는 대단히 돈독한 불교신자였다.
  ‘불법을 창과 방패로 삼고 진리를 갑옷과 투구로 삼아 능히 한 경내를 편안히 한지 겨우 10년이 되었다' 고 한 구절이나 우파이의 입을 빌어 대구를 ‘성지(聖地)' 라 표현한 것, 불교에 관한 구절을 많이 해 놓은 것 등을 통해 충분히 알 수 있다.
  10세기 초반 경 전국에서 지방세력이 대두하여 호족으로 될 때, 대다수의 호족들은 신라로부터 분립되는 길로 나아갔다. 하지만 일부 호족들의 경우에는 오히려 신라 중앙세력과 연결하여 자신의 권력을 더 강화시키거나 자신의 세를 과시하기도 했던 것 같다. 대구의 호족 이재가 바로 그 예다. 이재는 비록 지방출신의 호족이지만 혼란기, 분열기에 지역을 기반으로 일어나 중앙에서 발생한 모종의 반역사건(?)을 처리하는 등 활약을 하기도 하면서 중앙세력과 밀착된 관계를 형성했다. 그리고 그 일이 끝난 후에는 다시 대구로 돌아와 지내다가 908년경에 이르러 호국성 팔각등루를 건설하기도 했다. 전국적으로 조정에 항거하는 세력들이 일어나 난을 일으키거나 스스로 자립하여 세력을 구축하는 분열의 시기에, 대구의 재지세력 출신의 호족인 이재는 시종 신라 중앙정부 측에 서서 활동했다. 이재는 끝까지 신라에 대한 충성심과 의리를 버리지 않았다.
  • 자료담당부서 기획예산과 박신희
  • 전화번호053-662-2117
  • 최종수정일2023-01-12
페이지 만족도 평가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평가를 해주세요!
별점 5점
별점 4점
별점 3점
별점 2점
별점 1점